본문으로 바로가기

네트워크의 모든 것, All about Network™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 홈
  • 블로그소개
  • 태그
  • 방명록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Cisco_Study

    네트워크의 모든 것 :) Network, Cisco, Router, Switch, Firewall, VPN, Cloud, 가상화, 자격증, 시뮬레이션, 운영체제 등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

본 게시글은 'PC모드'에서 보시면 잘리지 않은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MAC Address Table을 참조하여 Ethernet Frame을 전송하는 것을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이라고 한다.IEEE 802.1D Annex C 부분에 Transparent Bridging이 정의되어 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절차Transparent Bridging은 크게 러닝(Learning), 플러딩(Flooding), 포워딩(Forwarding), 에이징(aging), 필터링(Filte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참고 Topology 1. 러닝 (Learning)R1이 R2에게 ARP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면 스..

네트워크/All about Network 2018. 10. 24. 23:2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본 게시글은 'PC모드'에서 보시면 잘리지 않은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Switch는 MAC Address를 통해서 목적지와 함께 Frame을 주고 받는다. 그러나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른다. 그 때 상대방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 ARP 동작 방식 By R2R1에서 R2로 Ping을 날려보는 것으로 ARP 동작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참고 Topology기본 설정, 및 IP 설정은 생략. LINK Cisco Router - 라우터 기본 설정, 확인R1 ~ R3 기본 설정R1>en R1#conf ..

네트워크/All about Network 2018. 10. 24. 02:16

이더넷 물리적 계층 (Ethernet Physical Hierarchy) (2) - Hub & Repeater, Switch & Bridge

본 게시글은 'PC모드'에서 보시면 가독성이 더욱 좋아집니다. 허브(Hub), 리피터(Repeater)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는 장비. L1 장비라고 함. 장비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Concentrator(집선장치) 역할도 한다. 한 장비에서 전송된 Frame이 Hub에 도착하면 도착한 Frame을 전부 Flooding 해버린다. 고로 보안성이 떨어지며 동시에 속도도 감소한다. 또한 Half Duplex로 동작하며 그림과 같이 하나의 충돌 영역, 하나의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상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PC1에서 PC3에게 Frame을 전송하면 Hub와 repeater같은 L1 장비들은 PC3이외 Collision Domain 안에 있는 모..

네트워크/All about Network 2018. 10. 23. 23:59

이더넷 물리적 계층 (Ethernet Physical Hierarchy) (1) - Ethernet, Cable, Frame, CSMA/CD

본 게시글은 'PC모드'에서 보시면 잘리지 않은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EthernetIEEE 802.2, 802.3에서 정의된 LAN에서 사용되는 Physical 계층, Link-Layer 계층 Protocol이다.특히 IEEE 802.3에는 Ethernet Speed, Cable 등 Physical 계층과 Ethernet Frame Format, 전송방식 등 Link-Layer 계층의 일부가 정의되어 있다. 현재 Ethernet은 LAN(Local Area Network)이외에 수십 km이상인 제품들까지 있어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에서도 사용된다. Ethernet 물리 계층 표준위에서 말한 신호 변환방식, 속도, LAN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및 케이블 종류..

네트워크/All about Network 2018. 10. 23. 23:12
  • 이전
  • 1
  • 2
  • 3
  • 다음

사이드바

NET Study 네트워크의 모든 것, All about Network™

NOTICE

  • 블로그 상단, 하단에 Google® 광고가 올라옵니다.
  • '네트워크의 모든 것'에 어서오세요 :)
  • 전체 보기
MORE+

CATEGORY

  • 전체보기 (56)
    • 소개 (3)
      • Introduce (1)
      • +α (1)
      • Study Summary (1)
    • 네트워크 (53)
      • All about Network (20)
      • Cisco (4)
      • Other Vender (3)
      • Firewall (2)
      • VPN (5)
      • Cloud (3)
      • Automation (0)
      • Simulation (14)
      • Equipment (1)
      • Topology (1)
    • 프로그래밍 (0)
      • Python (0)
    • 운영체제 (0)
      • Windows (0)
      • Linux (0)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Trackback

TAG

  • CISCO
  • Vlan
  • Cisco Adaptive Security Virtual Appliance
  • Cisco ASAv 방화벽
  • VPN
  • Cisco 방화벽
  • gns3
  • 네트워크
  • EVE-NG
  • Cisco ASA 5500-X 시리즈
  • OpenVPN
  • WAN
  • ios
  • AWS
  • Adaptive Security Virtual Appliance
MORE+

LINK

  • Amazon AWS
  • Cisco - Korea

VISITOR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네트워크의 모든 것, All about Network™, ALL RIGHT RESERVED.
네트워크의 모든 것, All about Network™
블로그 이미지 네트워크 주인장입니다 :)
MENU
  • 홈
  • 블로그소개
  • 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56)
    • 소개 (3)
      • Introduce (1)
      • +α (1)
      • Study Summary (1)
    • 네트워크 (53)
      • All about Network (20)
      • Cisco (4)
      • Other Vender (3)
      • Firewall (2)
      • VPN (5)
      • Cloud (3)
      • Automation (0)
      • Simulation (14)
      • Equipment (1)
      • Topology (1)
    • 프로그래밍 (0)
      • Python (0)
    • 운영체제 (0)
      • Windows (0)
      • Linux (0)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